본문 바로가기

'짐 실다 맞춤법, 혼동되는 표현을 정리해보자'

moderntech10 2025. 5. 1.

 

짐 실다 맞춤법, 혼동되는 표현을 정리해드려요

싣다와 실다, 차이를 알고 계신가요?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지만 정말 헷갈리는 경우가 있죠. 바로 '싣다'와 '실다'입니다. 이 둘의 차이를 제대로 구분하고 계신가요? 아니면 잘못된 표현을 무심코 사용하고 계신가요?
사실 '싣다'와 '실다'의 의미를 대략은 알고 계시겠지만, 받침을 구분해서 정확히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차이점을 자세히 알아보고, 맞춤법에 대해 정리해 드리려고 해요.

싣다와 실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싣다'의 사전적 의미는 "물체나 사람을 옮기기 위하여 수레, 비행기, 탈것 등에 올리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차에 짐을 싣다"라는 문장에서는 '실' 대신 '싣'이 맞는 표현이죠.
반면 '실다'라는 단어는 국어사전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싣다'의 잘못된 표현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차에 짐을 모두 실고 떠났다"라는 문장에서는 '싣고'가 맞는 표현입니다.

싣어와 실어, 헷갈리지 마세요!

'싣다'와 '실다'의 또 다른 차이점은 ㄷ불규칙 용언 활용에 있어요.
'싣다'의 어간 '싣'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고', '-는' 등이 붙으면 '싣고', '싣는'으로 활용됩니다. 하지만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어'가 붙으면 '실어'로 활용이 되죠.
즉, "차에 짐을 싣었다"라고 말할 때는 '싣었다'가 아니라 '실었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이렇게 ㄷ불규칙 용언 활용을 잘 기억하시면 '싣다'와 '실다'를 정확히 구분할 수 있을 거예요.

댓글